안장자 상세 내용


성명

이재식


민주화운동내용

노점상생존권 보장요구


사망일자

1989년 12월 11일


나이

37세


직업

노점상


관련자인정

2007/10/08 (218차)


민주화운동 내용

1. 약력

1952년 6월 20일 충북 충주 출생

1964년 초등학교 졸업, 일찍이 노동자 생활

1985년 대우중공업 하청업체 성흥사, 한국의장 등 근무

1988년 7월 한겨레신문 창간 후 거제지부 총무로 근무

1989년 7월 아내와 노점상 시작

1989년 10월 16일 12시 50분, 정부의 노점상 철거 정책에 항의하며 분신

1989년 12월 11일 사망

- 마석 모란공원 민족민주열사묘역 안장

2014년 5월 7일 민주화운동기념공원 민주묘역 이장

2. 민주화운동 내용

이재식은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나 중학교를 중퇴한 뒤 줄곧 15년 간 하루 12시간 이상의 살인적인 노동을 하며 고된 삶을 살았다. 그는 1979년 결혼한 이후 경남 거제로 이주, 그 곳에서 대우중공업 납품업체인 ‘성홍사’에 입사하였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열악한 노동현실에 분노하면서 ‘노동조합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부위원장을 맡아 노조 설립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다. 하지만 성흥사는 경영난으로 폐업을 하게 되었고, 이재식은 생계를 위해 ‘한국의장’에 취업하였다. 그러나 1988년 사측이 이재식에게 민주노조 결성 추진 활동과 관련하여 해고 위협과 함께 적극적인 감시활동을 벌였고, 이재식은 결국 현장노동자로서의 삶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7월 한겨레신문 거제지국 총무로 일하면서 대우노동자들의 파업과 농성을 지원하였다.

이후 이재식은 1989년 6월부터 아내와 함께 거제군 신현읍사무소 앞에서 호떡 노점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1989년 10월 16일, 그마저도 읍사무소의 갑작스런 노점상 단속과 강제철거로 인해 생계에 위협을 받게 되었다. 당시 신현읍사무소의 개발과장을 반장으로 한 노점단속반이 호떡 손수레를 끌고 가자 부인이 항의하였고, 뒤늦게 밀가루 반죽을 오토바이에 싣고 온 이재식이 단속반에 통사정을 했으나 돌아온 것은 냉소가 섞인 무책임한 태도뿐이었다. 이에 이재식은 생계터전을 짓밟는 법의 의의를 묻고 유서를 개발과장에게 전달 후 읍사무소 앞에서 분신으로 항거 하였다. 이어 치료를 위해 거제 기독병원, 마산 고려병원, 부산대학교 병원 등으로 옮겨졌으나 제대로 진료를 받지 못하고 부산 영도의 해동병원에서 사경을 헤매던 중 분신 57일 만인 1989년 12월 11일 새벽 12시 40분, 37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정부가 사회적 안전망 등 도시빈민의 생계와 관련한 자구 수단을 강구하지 않은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강제철거를 단행함으로써 노점상인 관련인이 분신이라는 극단적인 저항을 초래하였고, 관련인이 노점에 이르게 된 원인 또한 노동운동을 탄압하였던 정부의 권위주의적 통치로 인하여 노조활동자들이 재취업조차 어려웠던 시대적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고, 관련인의 유서내용으로 볼 때 위 항거행위를 단순히 개인적 이윤추구를 위한 사적 행위로만 볼 수 없고 도시 빈민들의 생존권 수호라는 공익적 필요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재식 열사의 분신은 당시 노점상연합 조직이던, 전국노점상연합회에서 도시빈민 탄압에 맞서 조직적으로 대응했던 최초의 투쟁이었다.

3. 열사 관련 기록

법질서 확립과 거리질서 확립이라는 구실로 아주 빈약하나마 생계수단인 거리노점상과 생활의 터전을 짓밟았으며, 관권을 빙자한 철거반원들의 폭력에 수많은 부상과 처절함이 안방 브라운관에 비쳐지고, 심지어 목숨까지 버리고 간 생명이 있었다. 나 또한 오늘 강제철거를 당하고 참을 수 없는 분노로 이 몸 불사른다. 법이란 물처럼 가는 것이다. 이 형태가 법이다. 나의 동지들이여! 이 순간을 생각하라!!

- “노태우 정권에 이 몸 불살라 경고한다” 이재식 열사의 유서 : 평화민주당「인권백서」기록, 253쪽 -

[민주화운동기념공원]
17406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공원로 30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16029 경기도 의왕시 내손순환로 132
T.031-361-9500 F.031-361-9576

© 민주화운동기념공원. ALL RIGHTS RESERVED.



[민주화운동기념공원] 17406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공원로 30 T.031-8011-9710  F.031-8011-9709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16029 경기도 의왕시 내손순환로 132 T.031-361-9500  F.031-361-9576 

© 민주화운동기념공원. ALL RIGHTS RESERVED.